트리니티메디컬뉴스
연구/개발
-
국내 의료진 “치명적 당뇨 합병증인 ‘당뇨망막증’ 원인 찾았다”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위험한 당뇨 합병증으로 꼽히는 ‘당뇨망막병증’으로 인한 시력 저하의 원인을 규명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앙대병원 안과 김지택 교수팀은 최근 당뇨망막병증 눈에서 시세포 밀도와 망막 및 맥락막 모세혈관 밀도의 연관성을 규명한 연구 논문(CORRELATION OF PHOTORECEPTOR INTEGRITY WITH RETINAL VESSEL DENSI...
2022-06-27 강다은
-
다발성 경화증 병변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임상연구 발표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바이오제약회사 이뮤닉(Immunic, Inc.)은 궤양성 대장염에 따른 다발성 경화증 연구실험에 대한 내용을 업데이트 공유했다.뉴욕에 본사를 둔 이뮤닉(Immunic, Inc.)은 2020년 9 월에 재발 완화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게서 디히드로오로테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억제제(dihydroorotate dehydrogenase inhibitor) 비도플루디무스 칼...
2022-06-17 강다은
-
자궁내막암 생존율 떨어뜨리는 ‘원인 유전자’ 찾았다
[트리니티메디컬뉴스=김여리 기자] 진행성 자궁내막암 환자의 생존율을 떨어뜨리는 원인 유전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차세대염기서열(NGS) 분석 기법을 통해 진행성 자궁내막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최초로 확인한 것이다. 서울경제에 따르면, 고대구로병원은 산부인과 홍진화 교수가 진행성 자궁내막암에서 ...
2022-06-15 강다은
-
국내 연구진,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항암 치료 기술 개발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암세포에 침투해 암세포의 에너지원(ATP)을 제거하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암세포만 선별적으로 죽일 수 있는 항암 치료 기술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유자형 교수, 에너지화학공학과 곽상규 교수 연구팀은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암...
2022-06-08 강다은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이상호 교수팀, 백신기반기술개발사업 ’신개념 접종 기술‘ 분야 연구 선정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강동경희대학교병원(원장 김기택) 신장내과 이상호 교수팀은 ‘글로벌백신기술선도사업단'이 주관하는 제1차 백신기반기술개발사업에서 '(신개념) 접종 기술' 분야에 공식적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경희대 의과대학, 한양대 의과대학, ㈜페로카로 구성된 컨소시엄(과제책임자 이상호 교수)...
2022-06-03 강다은
-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아연 결핍 해결할 단백질 발견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아연은 사람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미량 영양소다. 아연이 부족하면 성장이 안 되는가 하면 면역기능 및 신경 장애는 물론 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아연이 체내에서 어떤 경로로, 어떤 단백질에 전달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미국 밴더빌트대 의료센터...
2022-05-19 강다은
-
독일 뮌헨대 연구진, 동맥경화 악화하는 뇌-동맥 신호체계 발견
[트리니티메디컬뉴스=김여리 기자] 뇌와 혈관 사이에 존재하는 신호 교환 메커니즘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동맥경화가 진행된 혈관의 전기 신호가 뇌에 전달되면 뇌가 스트레스 신호를 보내 증세를 더 악화시킨다는 것이다. 이 메커니즘을 활용하면 죽상경화증 등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2022-05-03 김여리
-
‘장(腸) 건강이 뇌 건강’... ‘장뇌 축’ 작동 메커니즘 확인
[트리니티메디컬뉴스=김여리 기자] 장(腸)의 미생물(gut microbiota) 세포에서 떨어진 부산물은 혈액을 타고 순환하면서 면역과 물질대사, 뇌 기능 등을 조절하는데, 이 때 장과 뇌 사이에 신호 전달 경로가 작동한다. 바로 ‘장뇌 축(gut-brain axis) 이론’이다. 그런데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이 이론을 입증할 명백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2022-04-27 김여리
-
독일 연구팀, 미토콘드리아의 스트레스 알리는 메커니즘 규명
[트리니티메디컬뉴스=강다은 기자] 미토콘드리아는 우리 몸에 에너지(ATP)를 공급하는 세포 소기관이다. 그래서 ‘세포 속의 발전소’로 불린다. 이런 미토콘드리아에 이상이 생기면 여러 가지 질병이 생기는데, 가장 대표적인 질병이 바로 치매의 원인 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이다.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미토콘드리아의 ...
2022-04-13 강다은
-
노년기 치매 위험도 높이는 '비알코올 지방간'
[트리니티메디컬뉴스=김여리 기자]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정승용) 소화기내과 김원 교수가 국내 노년층을 대상으로 비알코올 지방간과 치매 발병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한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비알코올 지방간 질환(NAFLD)이란 간에 과도한 지방이 쌓여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과음으로 인해 간 내 지...
2022-04-04 김여리
메뉴 닫기
TOP